국민연금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!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4대 보험 중 하나에 포함되어 있어서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!저도 그랬습니다 ㅋㅋㅋ이번기회에 노후준비하는 과정에서 꼭 알아야할 국민연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~
◆ 기초연금(기초노령연금)&국민연금 종류 중복수령이 가능하지만 국민연금 수령액과 연계해 기초연금이 감액될 수도 있다!
구분 국민연금(노령연금, 장애연금, 유족연금) 기초연금(과거 기초노령연금) 비고조건 국민연금 10년 이상 가입 본인의 연금개시연령 도달 만 65세 이상 소득인정액 선정기준액 이하(소득하위 70%) 중 복수수령가능 연금액 개입기간, 납입액 등에 따라 개인별로 상이한 1인가구 : 최대 30만원~2인가구 : 최대 48만원(예상) 재원 국민연금기금 세금
◆ 연금보험은요?
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적용제외 임의가입자 근로자 본인 4.5% 부담 회사 4.5% 부담 자영업자만 27세 이상 소득이 없으면(납부예외 신청 가능) 9.0% 소득이 없는 배우자만 18~26세 이하(소득없는) 생계/의료급여 수급자 본인 신청시 가입가능 9.0%~9만원 이상~(소득 100만원 기준)
◆ 국민연금보험료기준소득월액(비과세소득제외금액)*9.0%※국민연금 >내 연금 조회
국민연금공단을 알면 알수록 내 연금, 국민연금의 새로운 소식과 공단소개 국민연금 통계와 새로운 뉴스를 본다 1 2 3 4 Start Stop 새소식 국민연금공모전안내 2020년 귀속 국민연금소득총액… 2021년도 국민연금기준소득월액… 향후 납부 비대면 신청방법 보도자료 채용공고 입찰공고 국민연금 통계가입 및 급여통계기금운용통계 전국연금지급통계 연금수급자 기네스공단 소개 연혁 및 CI조직 및 인원경영공시 지사찾기 영상으로 보는 국민연금[국민연금 캠페인] 나 대신 부모님을 챙기는 너에게 카드뉴스 모호하고 궁금했던 국민연금공… www.nps.or.kr
{평균소득(A값 2,438,679원)+본인소득}*C(소득대체율)*(1+0.05*N가입기간)*본인소득이 적을수록 연금액이 상대적으로 많다.본인소득 100으로 가정하면 연금40, 소득대체율 40% 본인소득=평균소득, 가입기간=40년*가입시기가 빠를수록 연금액이 상대적으로 많다. (내가 할 수 있는 방법) *나중에 더 알아봐야 할 내용인 것 같아요.
#국민연금+#기초연금연계감액제도 국민연금을 많이 낸 사람의 경우 소득으로 합산해 기초연금을 삭감받고 있는 실정, 이를 개선하기 위한 폐지 논의가 진행중!!국민연금 가입기간 증가 –>기초연금 감소
국민연금 기초연금(기초노령연금) 국민연금 가입자(연금보험료 납부자) 소득 하위 70%(소득인정액 ¥선정기준액) 단독 236.8만원 부부 148만원 만 65세 이상 공무원/군인/사학연금 수급자와 그 배우자는 제외한 국민연금기금→고갈시 정부재정(세금) 보험료 없음
연금액 월액 300,000 (2021년부터 모든 것 30만원) ~40% 월 300,000 40% ~ 70% 월 254.760원 부부 모두 수령하는 경우 20% 감소 24만원씩 수령
언제? 만 65세 이상 생일이 속하는 달의 한 달 전부터
어떻게? 동주민센터읍/면사무소 국민연금공단
주의점? 수급희망자 이력관리제도
주의점? 수급희망자 이력관리제도1. #임의계속가입2. #후일납부3. #각종지원제도(#신용제도)4. #소멸시효5. #반납1. 임의계속가입 예를 들어 만 60세 가입기간 3년인 경우(가입기간 10년 이상=노령연금 수령가능) 7년 임의계속가입을 신청하여 만 67세부터 노령연금 수령 가능한 만 65세(연금개시연령) 만 70세 2. 후납부제도(최대 10년까지 제한함) 납부예외, 적용제외(배우자(무소득) 만 18세~26세(무소속)의 경우) 기간연금보험료 추후납부가능 예를 들어 만 25세 취업 30세 퇴사만 55세 임의가입한 경우에 대한 추후 납부 가능만25세 취업(직장가입자) 만30세 결혼퇴사→적용제외(배우자,소득X) 만55세 임의가입자만 30세에 취업하여 65세까지 직장가입자로 국민연금을 납부한 경우 납부예외기간인 3년에 대하여 추후 납부가능만27세임의가입자(납부예외기간)만30세취업(직장가입자)만65세취업(직장가입자)국민연금이 고갈되면??국민연금은 국가가 만든 사회보험제도로 국민이 급여를 받을 수 있는 권리는 법으로 보장된 것으로 기금이 소진되더라도 제도 운영상의 변화만 발생할 뿐 국가가 반드시 지급하게 된다!!3. 각종 지원제도(신용제도) 실업크레딧실업급여 수급기간 중 생애 최대 12개월까지 지원 매년 1년이 아닌 전 생애에 걸쳐 12개월까지 인정연간금융소득(이자소득)과 연간 연금소득합계액이 1,680만원 이상인 경우 실업크레딧에서 제외되며, 실업크레딧의 연금보험료는 인정소득을 기준으로 납부*인정소득은 실직하기 직전 받은 3개월간 평균 소득의 50%가 보험료 부과기준 연금보험료율이 9% 월급이 140만원인 경우 그 절반인 70만원*9% 6만3천원(월 보험료) 가입자는 월 보험료) 이전에 속하는 실업크레딧에서 제외된다. 출산 크레딧2008년 1월 1일 이상 2자녀 출산 시 12개월 추가인정 병역크레딧(의무복무)군 복무기간도 국민연금 가입기간으로 인정되는 현역병 또는 전환복무자, 상근예비역, 사회복무요원, 국제협력봉사요원, 공익근무요원은 2008년 1월 1일 이후 6개월 이상 병역의무를 한 경우 총 6개월의 국민연봉 가입기간 추가